[V파일] 벼랑 끝에 봉착한 디지털 음원 시장, 그 해법은?<br /><br />014년 4월 3일. 한국 대표 락그룹 시나위의 기타리스트 신대철 씨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장문의 글 한 편을 남겼다. 글의 내용은 지금 국내 디지털 음원시장 구조 속에선 아티스트가 제대로 된 창작 활동을 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. 이날 그는 현역 가수로서 차마 쉽게 말할 수 없었던 국내 디지털 음악시장의 치부를 세상에 공개했다. <br /><br />신대철 씨의 글이 나가자 익명의 이름으로 인터넷 게시판에 글 하나가 올라왔다. 자신을 인디밴드라 소개한 글쓴이는 '현재 인기가수는 아니지만 2002년부터 음반을 내며 활동해 왔다'고 밝혔다. <br /><br />충격적인 것은 글쓴이가 공개한 디지털 음원 수익 내역이었다. <br /><br />업체마다 요금제의 차이가 있었지만 국내에서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한 멜론(로엔 엔터테인먼트)을 기준으로 음원 다운로드 당 17.5원, 음원 스트리밍 당 2원의 요금이 가수에게 지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 <br /><br />그렇다면 도대체 2원이란 숫자는 어디서 온 것일까? <br /><br />국내에서 음악 한 곡당 다운로드 가격은 평균 600원. 온라인에서 음악을 판매한 음원 서비스 업체가 1차로 40%의 수익금을 가져간다. 이후 남은 금액에서 10%를 저작권자인 작사, 작곡자가 각각 5%씩 가져간다. 그러면 50%가 남는데 그중 44%는 가수와 함께 계약을 체결한 음반 제작사가 가져가고 마지막으로 남은 6%를 실연자인 가수와 연주자가 3%씩 가져간다. <br /><br />구조가 이러다 보니 결국 3%에 해당하는 수익인 다운로드 당 17.5원, 스트리밍당 2원의 금액이 나오는 것이다.